본문 바로가기
Useful

[Useful] 새가 날 수 있는 이유와 날지 못하는 새

by 가가가가가가 2024. 7. 23.
반응형

새는 여러 가지 복잡한 생리학적, 구조적 특성들의 조합들로 날 수 있다.

 

벌새

 

  비행 가능 주요 요소

    1. 날개 구조와 깃털

  • 날개 : 새의 날개는 공기역학적으로 설계되어 있으며, 날개는 기본적으로 앞다리의 변형된 형태이다.
              날개는 깃털로 덮여 있으며, 이는 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.
  • 깃털 : 깃털은 가볍고 강하며 공기 저항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. 특히, 비행깃털은 넓고 평평하여 공기를 잘 받는다.

     2. 근육과 골격

  • 비행근육 : 새의 비행근육은 매우 강력하다. 특히 가슴근육(대흉근)은 날개를 위아래로 움직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.
  • 가벼운 골격 : 새의 뼈는 속이 비어 있어 가볍고, 이는 전체 몸무게를 줄이는 데 도움을 준다.
   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하지만 강한 강도와 내구성을 지니고 있다.

     3. 공기역학

  • 양력 : 새의 날개는 양력을 생성하여 몸을 들어 올린다. 날개 위쪽의 공기가 아래쪽 공기보다 빠르게 흐르기 때문에
              압력이 낮아지고, 이로 인해 새는 위로 떠오르게 된다.
  • 추진력 : 새는 날개를 움직여 추진력을 생성한다. 날개를 아래로 치며 앞으로 나아가고, 날개를 위로 들어 올리며 저항을 최소화한다.

     4. 몸의 형태

  • 유선형 몸 : 새의 몸은 유선형으로 설계되어 있어 공기 저항을 최소화한다. 이는 비행 효율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.

     5. 호흡과 에너지 대사

  • 효율적인 호흡 시스템 : 새는 비행 중 많은 산소를 필요로 하므로, 매우 효율적인 호흡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.
   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폐 외에도 공기주머니를 이용해 공기를 효율적으로 순환시킨다.
  • 높은 대사율 : 새는 비행을 위해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며, 이를 위해 높은 대사율을 유지한다.
   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이로 인해 많은 양의 에너지를 빠르게 생산하고 사용할 수 있다.

 

백로

 

● 비행의 과정

     · 이륙 : 새는 날개를 강하게 내려치고 다리를 밀어 이륙한다.

     · 비행 : 날개를 위아래로 움직이며 양력과 추진력을 생성한다.
                 방향을 바꾸거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꼬리와 날개의 움직임을 조정한다.

     · 착륙 : 속도를 줄이고 다리와 날개를 이용해 부드럽게 착륙한다.

 

● 날지 못하는 새

    모든 새들이 날 수 있는 것은 아니다. 몇몇 새들은 진화 과정에서 비행 능력을 잃었으며,

    대신 각자 다른 형태의 적응을 통해 생존하고 번성하고 있다.

 

     1. 타조 (Ostrich)

  • 특징 : 타조는 세계에서 가장 큰 새이며, 날 수 없지만 달리기에 매우 능숙하다. 시속 70km까지 달릴 수 있다.
  • 적응 : 강력한 다리와 발톱은 포식자로부터 자신을 방어하고 빠르게 이동하는 데 도움을 준다.

타조

 

     2. 에뮤 (Emu)

  • 특징 : 호주에 서식하는 에뮤는 타조와 비슷하게 날지 못하지만 빠르게 달릴 수 있다.
  • 적응 : 긴 다리와 큰 발톱을 가지고 있으며, 달리기를 통해 포식자로부터 도망간다.

에뮤

 

     3. 키위 (Kiwi)

  • 특징 : 뉴질랜드에 서식하는 키위는 작은 크기와 날개가 거의 퇴화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.
  • 적응 : 땅 속에서 먹이를 찾기 위해 긴 부리를 사용하며, 야행성으로 포식자로부터 숨기 위해 작은 크기를 유지한다.

키위새

 

     4. 카수아리 (Cassowary)

  • 특징 : 카수아리는 뉴기니와 호주 북부에 서식하며, 매우 큰 몸집을 가지고 있다.
  • 적응 : 강력한 다리와 발톱을 가지고 있으며, 이는 포식자로부터 자신을 방어하는 데 사용된다

카수아리

 

    5. 펭귄 (Penguin)

  • 특징 : 펭귄은 남극과 그 주변 지역에 서식하며, 날 수 없지만 수영에 매우 능숙하다.
  • 적응 : 날개가 물속에서 추진력을 얻는 데 적합한 형태로 변형되어 있으며, 이는 물속에서 빠르고 유연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.

펭귄

 

 비행 능력을 잃은 이유

    이 새들이 날지 못하게 된 이유는 다양한 진화적 압력과 환경적 요인이 있다.

 

  • 포식자의 부족 : 섬이나 특정 지역에서 포식자가 부족한 환경에서는 비행의 필요성이 줄어든다.
  • 풍부한 자원 : 땅에 충분한 먹이가 있을 경우, 비행을 통해 먼 거리를 이동할 필요가 없다.
  • 신체적 적응 : 날지 않고도 생존에 유리한 다른 신체적 특성을 발전시켰다.

물총새

반응형

댓글